배우자 출산 휴가 신청하면 공휴일은 제외한 근무일만 해당 된다고 되어있습니다
도대체 근로일과 공휴일은 제외 한다라고 하는데 근로일은 뭐고 공휴일은 뭔지 알아봅시다.
1. 근로일 기준
근로 일수는 근로자가 실제로 근무하는 날
교대 근무자는 근무일 계산기를 이용하면 편하다.
2. 공휴일 기준
공휴일은 " 국가나 사회에서 정하여 다 함께 쉬는 날. 일요일, 삼일절, 설날, 추석, 어린이날 따위가 이에 해당한다"로 되어 있습니다.
구체적으로 토요일, 일요일과 달력에 빨간색으로 적힌 모든 날을 의미합니다.
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습니다
- 토요일, 일요일
- 국경일
- 대체휴일
- 5월1일 근로자의 날(공무원은 해당 안됨)
- 선거일
- 그 외 국가가 임시로 정한 날도 포함
3. 배우자 출산 휴가 산정 방법
- 단태아는 20일, 다태아는 25일
- 중간에 공휴일이 없다면 단테아 4주, 다테아는 5주
- 중간에 공휴일이 있다면 공휴일 만큼 더 늘어 남
- 교대 근무자는 야간 퇴근날을 이용하면 더 많이 쉬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
4. 배우자 출산 휴가 잘 쓰는 방법
- 공휴일이 많이 있는 주에 쓴다.(120일 이내에 3번에 나누어 쓸수 있음)
- 주말을 끼고 나누어 쓰면 좋다.
- 육아 휴직을 할 예정이면 위 2가지 사항을 조합해서 최대한 일 수를 늘린 다음 육아 휴직에 들어간다.
법적인 근거는 남녀고용평등과 일·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」 제18조의2제1항 및 제2항 에 따릅니다
반응형
'복지서비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노란우산공제, 소기업·소상공인의 노후준비와 사업재기 필수 제도 (0) | 2023.05.16 |
---|---|
국민행복카드 체크카드 신청방법 및 혜택 알아보기 (0) | 2023.04.04 |
댓글